[1번지초대석] 북 전승절 '심야 열병식' 가능성…북중러 밀착 강화<br /><br /><br />오늘은 6.25 전쟁 정전협정을 맺은 지 70주년이 되는 날인데요.<br /><br />북한에서는 자신들이 승리한 날이라고 주장하면서 '전승절'로 기념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제난 속에서도 중국과 러시아 고위급 대표단을 초청한 가운데 대규모 열병식을 준비하고 있죠.<br /><br />자세한 내용 오경섭 통일연구원 연구위원과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 북한이 언제부터 정전협정 체결일, 이른바 전승절을 이렇게 크게 기념했나요?<br /><br /> 이번엔 중국과 러시아 대표단을 초청했습니다. 전승절에 외국 대표단을 초청한 건 10년 만인데요. 특히 중국과 러시아 대표단을 동시에 초청한 것도 거의 이전에는 찾아볼 수 없었다고 하는데 맞나요.<br /><br /> 중국도 중국이지만 러시아 대표단 단장으로 쇼이구 국방장관이 직접 온 것이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. 우크라이나 전쟁에 북한제 무기가 들어갔을 것이라는 얘기가 나왔기 때문에 더욱 관심인데요. 쇼이구 국방장관이 직접 와서 푸틴 대통령의 친서를 김정은 위원장에게 전달한 목적, 어디에 있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북러 무기 협력 얘기가 나오는 와중에 마침 평양에서 무기 전시회가 열렸고, 거기에 러시아 군사대표단이 방문했는데요. 김정은 위원장이 직접 무기를 소개하는 사진이 공개됐습니다. 무기를 사 가라는 얘긴지, 아니면 당신들이 준 기술로 이런 무기를 만들었다고 감사해 하는 건지, 뭐라고 보면 될까요?<br /><br /> 백악관은 러시아가 북한으로부터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탄약을 제공받았고, 식량 공급을 대가로 추가 탄약을 공급받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밝힌 바 있는데요. 러시아 입장에선 북한제 무기가 상대적으로 수준이 떨어지더라도 살 수밖에 없는 상황인 건가요?<br /><br /> 그런데 전시회에 고고도 무인정찰기와 무인공격기가 공개됐는데 미국의 첨단 무기와 모양이 흡사합니다. 열병식이 아닌 전시회를 통해 먼저 신무기를 공개한 이유, 무엇 때문이라고 보십니까?<br /><br /> 우리 군이 이들 무기체계를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는데, 모양은 미군 무인기와 흡사합니다만 성능까지도 유사하다고 과연 볼 수 있을까요?<br /><br /> 북한의 중국 의존도는 절대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죠. 중국이 어떤 식으로든 제재로 경제난을 겪는 북한을 돕고 있는 건지 궁금합니다.<br /><br /> 27일 0시를 기해 열병식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하지 않았어요. 오늘 밤 할 것으로 보이는데요. 이번 열병식에서 꼭 눈여겨봐야 할 대목이 있을까요?<br /><br /> 올해는 꺾어지는 해, 정주년이어서 그런지 열병식을 대규모로 연다고 하죠. 북한의 경제 사정으로 봐서 이런 큰 행사를 열 여력이 되나요? 경비가 만만치 않게 들 텐데요.<br /><br /> 미국은 러시아와 중국의 역할을 촉구하고 있습니다. 중국과 러시아가 영향력을 발휘해 북한의 긴장 고조 행위를 억제시킬 수 있고, 또 북한이 협상 테이블로 돌아오도록 잠재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건데요. 실제로는 열병식에서 대량살상무기를 용인하는 듯한 정반대의 모습이 연출될 것으로 보입니다?<br /><br /> 다음 달 18일 한미일 정상들이 미국에서 만납니다. 바이든 미 대통령이 제안한 이번 정상회의에선 어떤 내용이 최우선 과제로 논의될까요?<br /><br /> 정부 대북정책의 핵심인 확장억제 강화를 위한 한미일 협력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워싱턴 선언 이행을 위한 전략자산의 한반도 전개는 계속될 텐데요. 그때마다 북한이 무력도발로 반응할 경우 긴장은 더욱 고조될 수밖에 없어 보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